2025년 7월 27일 일요일

이러고 있으면 안되겠다 싶어서 시작하는 기록 (feat. 모바일 보안)

벌써 이직 3년 차를 바라보고 있습니다. 지난 3년간 현 회사에서 정말 많은 것을 배웠지만, 아쉽게도 그 배움의 과정을 제대로 기록해두지 못했습니다. 더 이상은 미룰 수 없다는 마음으로, 이렇게 다시 이 공간에 돌아와 저만의 학습 기록을 시작합니다.


이 블로그는 앞으로 크게 두 가지 주제로 글을 작성해 나갈 예정입니다.

  1. 모바일, 특히 안드로이드 보안 분야의 기초부터 심화까지: 대학생 시절의 보안 지식이 전부였던 제가, 이직 후 실무에서 안드로이드 보안을 경험하며 배우고 깨달은 것들을 담아낼 예정입니다. 기술적인 깊이와 전문성을 쌓아나가는 저의 여정을 솔직하게 기록할 것입니다.

  2. 업무를 하면서 기초적으로 알고 있으면 좋을 만한 내용들: 실제 개발 현장에서 마주하는 다양한 문제들과 그 해결 과정, 그리고 주니어 개발자들이 알면 유용할 만한 실질적인 정보들을 공유하고자 합니다.


이 기록들이 훗날 저와 비슷한 길을 걷고자 하는 모바일 보안 입문자들에게 작은 도움이 되기를 바랍니다. 보안에 대한 배경 지식이 부족했던 저 같은 사람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, 최대한 많은 분들이 공감하고 배울 수 있는 방향으로 내용을 풀어낼 생각입니다.

이 블로그는 저의 학습 여정을 솔직하게 담아내는 공간이 될 것입니다. 때로는 시행착오를 기록할 수도 있겠지만, 그 과정 자체가 저의 성장을 보여주는 증거가 될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.

저의 기록들이 저와 비슷한 고민을 하는 다른 개발자분들께도 작은 영감이나 도움이 되기를 바라며, 앞으로의 여정에 많은 관심과 조언 부탁드립니다 :)

2023년 5월 24일 수요일

Windows + vscode + visual studio compiler + c/c++

  1. Extension install



2. Install Visual studio pack


3. Set the VSCode environment settings

3-1. Set the value in the tasks.json file like linked file.

* Please put the  "${workspaceFolder}/*.cpp" in the args to compile c++ files

ref. https://code.visualstudio.com/docs/cpp/config-msvc


4. ctrl + shift + B => Run the tasks!

2021년 10월 4일 월요일

자동 시작프로그램 설정

 

(1)  설정

* 처음에는 해당 위치에 해당 파일이 없는 경우가 일반적이다.

또한 해당 파일이 /etc/rc.local 위치에 있어야 그 부분을 통과한다.

 

1.    $sudo vim /etc/rc.local

#!/bin/bash

 

sudo -H -u yujin /opt/sword/bin/server/http_server start &

     -H sets the HOME environment variable to that of the user.

     -u specifies the username to run as.

     & : run this program as background.

2.    $sudo chmod[1]  +x /etc/rc.local

 

(2)  Background로 돌아가고 있는 프로그램 확인할 수 있는방법

$ ps -eo uid,pid,ppid,stat,comm | grep ${program_name}

(3)  (예외) 로그인 후 프로그램이 동작하길 원함

1.    로그인 후 실행될 파일 만들기

$sudo vim /etc/profile.d/xxx.sh

#!/bin/bash

 

/opt/sword/scripts/run_script/launcher.sh &

2.    Port확인 ( rest / websocket의 경우 뚫려있는지 확인필요)

$ netstat -nap | grep 8080


+x 모드로 간다는 의미 = 모든 사용자에게 실행권한을 준다는 의미

detail : https://eunguru.tistory.com/93

 

이를 숫자로 표현할 때의 의미 : https://www.maketecheasier.com/file-permissions-what-does-chmod-777-means/


1. 실행파일을 rc.local에 등록시켜서 함께 켜지도록 등록하는 방법

2. daemon으로 등록해서 함께 실행하는 방법