2017년 6월 30일 금요일

#주절주절 잡지식[Makefile, set number]



흠, 잠깐 시간이 나서 오늘 터득한 걸 작성해놓는다.

먼저, c의 Makefile, 질문의 요지는 CC = @CC@를 어떻게 왜 쓰는거지?를 찾는 길이었다.

(from : http://onecellboy.tistory.com/143)
위의 글에 따라 @를 붙이면 그 라인의 에코는 나타나지 않는다.
궁금증에 간단한 예제로 따라 해 보았다.



Makefile을 다음과 같이 구성했다. 여기서 주목해야 할 점은 2가지이다. @와 $(CC)-매크로
먼저, @를 붙여서 실행되는 과정을 없애보자.차이점은make clean할 때 나타나는 명령어 에코가 나타나지 않는다는 것이다.


매크로를 붙여서 실행한 명령어에는실행하면서 화면에 출력하지만,
gcc -c main.c gcc -c foo.c gcc -c bar.c는화면에 출력하지 않는다.
또한, make clean 명령어는 @를 붙이지 않았으므로 화면에 에코잉한다.

다음으로, 매크로에 대해 알아보자.
다음은 검색을 통해 알게 된 사이트로 매크로를 더 알고 싶으면 이 사이트를 참조하자.
 https://www.tutorialspoint.com/makefile/makefile_macros.htm

아, 결론은 @@는 Makefile이 A Makefile에서 B Makefile.in 같은 걸 만들 때 A에서 불러와서 쓰는 변수같은 역할을 한다. 좀 더 flexible한 변수말이다. 더 자세한 건 알아내지 못했다..



자, 이제 다음으로는 vim
라인 수 붙이는 명령어를 간단하게 짚고 넘어가자.
왜 인지 예전에 찾다가 포기했었던거 같은데.. 나 바본가..
 

그냥 기본 화면에서 :set number하면 그 화면에서 바로 줄번호가 나타나지만, 지속되지 않는다.

지속시키려면?

$ vi .vimrc

set number를 작성해주고 저장해주면된다. 지속적으로 줄번호가 붙는 vi/vim을 쓸 수 있다!

댓글 없음:

댓글 쓰기